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청춘, 보다 나은 나로

  • 상담전화 061-811-0130
  • 팩스 061-811-0136
  • 운영시간 09:00 ~ 18:00 점심시간 (12:00 ~13:00)

정신건강 Q&A

  • 내가 우울증일까요?

  • 우울증 치료는 어떻게 진행될까?

     
    #보건복지부 #중앙자살예방센터 #같이갈래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 예전에는 착했는데.. 이렇게 변할 수도 있나요?

    1. 내가 먼저 침착한 마음을 유지해 보기로 해요.
    가족, 자녀 모두 감정이 흥분되어 있다면 잠시 떨어져 있거나 마음을 가라앉히는 것이 필요합니다. 차분하고 명확하게 상황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자녀가 마음을 가라앉힐 수 있도록 도와볼까요?
    자녀가 화가 난 상태라는 것을 받아들이고 이해하려는 태도를 취합니다. 
    "(자꾸 병원에 가자고 해서) 기분이 나쁠 거라는 거 알아. 그런데 지금 화가 많이 난 상태라 이야기하기 쉽지 않을 것 같은데 어떠니? 조금 감정이 가라앉고나면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아."
    이후 충동이 가라앉고나면 "네가 기분이 상했다는 거 알아. 하지만 공격적인 행동은 절대로 하면 안 되는 행동이야."라고 명확하게 한계를 정합니다. 
    3. "너는 어떤 상황에서 화가 나는 것 같아?"
    평소 어떤 상황, 행동, 말이 공격성을 불러일으키는지 미리 확인합니다. (높은 목소리의 톤, 사람이 많이 모였을 때, 비난 또는 잔소리, 싫어하는 특정 인물 등) 가능하다면 그런 상황을 피하고 대처방안을 마련하십시오. 
    만약 반복되는 행동 패턴이 있다면, 내가 아이를 자극하는 부분은 없는지에 대한 확인과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합니다. 
    4. 모두를 위한 위기 대처 112
    만약 자녀가 공격적 행동을 멈추지 않으면, 빨리 자리를 피하고 112에 연락해 위기 상황을 피해야 합니다. 충동적 상황에서 가족이나 주변 사람 뿐 아니라 자신을 해칠 수도 있으며, 위기상황이 지나간 뒤 자녀가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지 않도록 빠르게 위기 상황에 대처해야 합니다. 
     
    출 처 : 서울시 정신건강복지센터 초발정신질환 가족대처전략 매뉴얼 '그럴 수 있어, 괜찮아' 
  • 재발 경고 신호에는 어떤것이 있나요?

    조현병의 경과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고 증상의 발생과 소실을 반복합니다. 재발이란 없어졌던 증상이 다시 나타나거나 남아있는 증상이 심해지는 것을 의미하며 그대로 두면 재입원의 가능성이 높아 집니다. 
    조현병 환자가 한번 재발하면 치료의 원점으로 돌아가며 재발하기 이전의 기능수준으로 회복하기까지 또 다시 몇 개월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재발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재발은 하루 이틀 사이에 갑자기 발생하지 않으며 반드시 사전에 몇 가지 징후를 보이게 되는데 이를 '재발경고신호'라고 합니다. 환자와 가족들이 재발경고신호를 알아차리고 빠른 조치를 취한다면 증상이 악화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거나, 안타깝게 재발하더라도 재발 증상의 기간을 단축 할 수 있습니다. 
  • 정신건강의학과 치료를 받으면 보험, 취업에 불이익이 있나요?

    법원에서 환자의 진료 사실에 대한 정보제공 요청이 왔을 때 의사는 환자의 동의를 묻지 않고 법원의 요구에 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험회사, 경찰, 변호사, 검찰 등의 요청 시 환자의 동의 없이 정보제공할 수 없습니다. 
  • 정신건강의학과 약을 복용하면 약물에 중독되어 약을 못끊게 되거나 내성이 생겨 점점 약을 늘려야 하나요?

    항정신증 약은 중독되지 않습니다. 즉, 약을 끊더라도 금단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약이 중독되는 것처럼 느껴지는 이유는 심리적으로 약을 먹지 않으면 불안한 마음이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치료진과 증상을 공유하며 약물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신건강의학과 약을 계속해서 복용하면 머리가 나빠지나요?

    결론부터 이야기 하자면 정신건강의학과 약물과 지능 사이에는 아무런 상관이 없습니다. 
    약을 복용한 후 기억력이 떨어졌다고 호소하지만 기억력보다는 집중력이 떨어진 것으로 집중력 저하는 약보다 병의 증상 때문에 생길 수 있습니다. 
     
  • 정신질환이 확률이 높은 질병인가요?

    보건복지부가 조사한 '2016 정신질환 실태조사'를 보면 주요 17개 정신질환에 대한 평생 유병률은 25.4%로, 성인 4명 중 1명이 평생 한 번 이상, 우울, 조현병 등 정신건강문제를 경험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모든 질병이 마찬가지이듯이 정확한 질병에 대한 진단과 이해가 치료의 시작입니다. 
  • 정신과 치료는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한가요?

    증상이 오래되고 재발될수록 치료 및 회복의 기간이 길어짐은 물론 경제적 부담 증가, 일상생활 능력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